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단지 분양가 어떻게 생각할까?
민영주택도 신혼부부·다자녀 가구 등 이른바 특별공급으로 분양되는 물량이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 3월 말부터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이 개정되면서 신혼 특공 비중이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특공 물량이 절반을 돌파했지만 일부 유형은 청약자가 거의 없는 등 미스매칭 해소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6일 청약홈에 따르면 최근 선보인 민영주택의 경우 특별공급 비중이 10채 중 5채를 다 넘어섰다. 종전에는 특공 비중이 40%대 후반으로 50%를 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고양시 덕양구에서 선보이는 '고양 더샵포레나'는 총 분양 물량이 636가구다. 이 가운데 특공으로 배정된 물량은 345가구로 54%를 기록했다. 수원시 장안구 이목지구에서 공급되는 '북수원이목지구 대방 디에트르 더 리체Ⅱ'도 전체 가구(1744가구)의 53%인 919가구가 사회적 배려 계층에게 배분됐다. 용인시에서 공급된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단지'도 총 분양가구 1804가구 가운데 54%인 979가구가 특별공급이다. 지방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울산에서 선보인 '태화강 에피트'은 특공 비중이 59%에 달했다.
종전에는 민영주택 특공 비중은 절반을 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3월 31일부터 개정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이 시행되면서 사정은 달라졌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단지 분양가도 기준층 기준 1900만원 대로 시작한다
개정 규칙에 따르면 민영주택 신혼특공 물량이 '건설량의 23% 이내'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민영주택 유형별 특공 비중은 기관추천 10%, 신혼부부 23%, 다자녀 가구 10%, 노부모 부양 3%, 생애최초 9% 등 55%에 달하게 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용 85㎡ 이하 공급 규모 등 단지별 상황에 따라 특공 비중은 다소 달라질 수 있다"며 "하지만 '55%룰'에서는 민영주택의 경우 기본적으로 특공 비중이 50%를 넘게 되는 구조이다"고 말했다. 공공주택은 이미 특공 비중이 70~90%에 이른다.
민영주택도 특공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미스매칭 해소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 2020년 1월부터 2024년 6월에 공급된 86만95가구를 분석한 결과 특공의 경우 지역별·유형별로 편차가 매우 컸다.
우선 이 기간 실제로 특별공급을 받는 비율은 약 29%에 그쳤다. 10채 중 3채에 불과한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세종·제주는 대부분 실제 특별공급으로 이어졌으나 경북·울산·충남은 대다수 물량이 일반공급으로 전환됐다. 유형별로는 다자녀(73.0%), 기관추천(62.5%), 노부모 부양(61.6%) 등은 특별공급에서 청약자를 찾지 못하는 비율이 60%를 넘었다. 허윤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특별 공급의 지역별·상품별 수요 편차가 커져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는 만큼 수요 기반의 제도 효율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신혼특공과 생애최초의 경우 경쟁이 몰리는 반면 다자녀나 노부모 부양 등은 그렇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유형별 비중을 재조정해 인기가 없는 특공은 낮추고, 사람이 몰리는 특공은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특공 분양가(9억원 이하) 기준이 폐지되면서 문제가 되고 있는 '금수저 특공' 논란도 해결해야 될 과제로 남아 있는 상태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단지 분양가 및 대표 홈페이지 : https://house-you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