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2,070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1,811만 원) 대비 14.3% 오른 수치다. 분양가가 6.59% 하락했던 2021년 이후, 2022년 17.42%, 2023년 18.37%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3년 연속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분양가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사비 인상 압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2월 1일부터 적용된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는 전년 평균 대비 3.9% 상승했다. 여기에 글로벌 관세 이슈 등으로 수입 원자재 비용 부담이 증가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오는 6월부터는 30가구 이상 민간 아파트를 대상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이 의무화된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뛰어난 단열 성능과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구조다. 국토교통부는 5등급 기준을 충족할 경우 전용면적 84㎡ 기준 가구당 약 130만 원의 공사비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으며, 건설업계에서는 약 293만 원의 상승을 추산하고 있다.
여기에 대출 규제 강화도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에 부담을 더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가계대출 억제책을 발표했고, 올해 7월부터는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시행될 예정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새롭게 적용되는 각종 정책과 대외 환경을 고려할 때 분양가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지금이 가장 저렴한 분양가’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집값 상승세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는 만큼, 실수요자라면 이미 분양된 브랜드 아파트를 선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기존 분양 단지들에 관심이 커지면서, 국내 최대규모 반도체 산업단지 인근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가 정당 계약을 진행 중으로 주목 받고 있다.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는 용인 남사(아곡)지구 7BL에 위치하며, 지하 2층~지상 최고 27층, 7개동 전용면적 84㎡~182㎡, 총 660가구로 조성된다. 계약금 5%(1차 1천만원 정액제) 혜택을 제공할 예정으로 일반적인 단지들이 10~20%의 계약금을 책정하는 것과 비교해 계약자들의 초기 자금부담을 크게 낮췄다.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산업벨트 중심에 자리잡아 미래가치도 높다. 규모로 평택 대비 압도적인 규모와 투자금액을 자랑하는데, 용인 산단은 총 면적 약 778만㎡로, 평택(415만㎡)의 약 2배에 달하며, 사업비 또한 9조 637억 원으로 평택(3조 4,859억 원)의 3배에 육박한다. 여기에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약 360조 원 규모의 투자가 예정돼 있으며, 생산 유발효과 400조 원, 고용 유발효과 192만 명에 달하는 국가적 메가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호재에 힘입어 지난해 8월 공급된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1단지도 단기간에 완판됐던 바있다.
커뮤니티로는 피트니스, 스크린골프 등 실내•외로 다양한 운동 시설이 마련되며, 사우나(건/습식), 작은도서관, 힐스 라운지, 게스트하우스, 키즈스테이션, 티하우스, H 아이숲 등 입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될 예정이다.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의 분양홍보관은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한숲로, 견본주택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손곡로 일대에 위치해 있다.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 대표 홈페이지 : https://house-yours.com